컴퓨터 / IT 238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화면 캡춰하기

최근 아들에게 스마트폰을 선물했습니다. 소니 X10 mini라는 모델인데 요즘 공짜폰으로 풀려서 나름 인기가 있는 모델입니다. 저도 아직은 스마트폰을 써보질 못했기 때문에 호기심에 많이 만져봤습니다. 얼마전 갤럭시탭으로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대해 어느 정도 익숙해져 있던 터라 부담없이 사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간단한 사용기라도 적어야 겠다 싶어서 화면을 캡춰해 보려고 하니 PC처럼 간편한 캡춰 유틸리티가 없더군요. 이래 저래 인터넷 검색을 해 보니 일부 폰들을 제외하고는 안드로이드 SDK를 설치해서 디버거로 캡춰하는 방법 뿐이더군요. 하지만 사이트 설명대로 따라하다 보니 잘 안되는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왕 설치하는 김에 간단한 사용법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X10 mini를 기준으로 ..

컴퓨터 / IT 2010.12.21

구글은 IE를 싫어해?

2008년 8월부터 블로그에 구글 광고를 넣기 시작했는데 얼마 전 확인해 보니 광고비가 지급이 되었더군요. 참고로 구글은 누적된 지급액이 100불이 넘어야 받을 수 있는데 사용자에 따라 계속 누적시킬 수도 있고 저처럼 100불 넘으면 바로 지급되게 해 놓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모르고 있다가 최근 구글 계정에 로긴해 보니 지난 8월에 아래와 같이 지급이 되었다고 되어 있더군요. 얏호~! 그런데 반가움도 잠시 뿐... 지급기한이 60일이더군요. 이를 넘기면 지급 취소가 되고 이후 지급이 무기한 보류되는 시스템인데 지급된지도 모르고 있다가 이미 60일은 지나 버렸... ㅠ.ㅠ;;; 구글에 문의를 해 봤더니 지급보류를 풀 수 있게끔 연락할 수 있는 링크를 알려 주길래 다시 문의를 했으나 1주일이 지나도 감감..

컴퓨터 / IT 2010.12.14

갤럭시탭 체험기

지인께서 갤럭시탭을 산 후 저에게 세팅을 의뢰하셔서 몇 일간 써보았습니다. 스마트패트는 물론이요 스마트폰도 남들 것 잠깐 만져본 경험이 다인지라 저도 무척 신기하고 재밌더군요. 박스는 갤럭시탭의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무척 작습니다. 박스 크기가 너무 타이트한 것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작은데 대량 판매되는 제품이다 보니 물류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 하고 짐작해 봅니다. 그래도 90만원 정도의 한 가격 하는 물건인데 서운하긴 하네요. ㅎㅎ 회사에서 집으로 가져 오려고 저렇게 넣었더니 파워 버튼이 눌리는 사태가 생겨서 결국 코트 안 주머니에 넣어서 왔습니다. 양복 안주머니에 들어가는 크기라고 들었는데 정말 그렇더군요. 박스 크기답게 내용물도 심플합니다. USB 케이블, 충전기(USB 파워 어댑터라..

컴퓨터 / IT 2010.11.27

무선 미니 키보드 KP-06RK

지난 일요일에 HTPC에서 영화를 보려고 전원을 켜 보니 무선 키보드가 반응이 없더군요. 세진전자에서 만든 Freeboard라는 제품인데 사용한지는 6~7년 정도 된 듯 합니다. 송신불량으로 추측되는데 뜯어서 살펴볼까 하다가 오래 쓰기도 했고 새로운 제품을 써보고 싶다는 욕구도 생겨서 다른 제품을 조사해 봤습니다. 그러다가 최근에 출시된 모델중 눈에 띄는게 있길래 망설임 없이 하나 구매했습니다. 건평정보통신이라는 생소한 회사에서 수입한 KP-06RK라는 모델입니다. 크기가 작고 RF 타입이라는 점 그리고 마우스 휠 기능이 내장된 점 등이 맘에 들어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박스가 상당히 작더군요. 키보드도 상당히 작습니다. 더 작게 만들면 타이핑에 문제가 많을 것 같군요. 키보드 양쪽 끝과 상단에 멀티미디..

컴퓨터 / IT 2010.10.12

MSI GTX 460 1GB

Radeon HD 5850의 비싼 가격과 비레퍼런스 보드의 무지막지한 PCB 길이 때문에 다음 비디오 카드는 뭘로 해야 할지 고민을 좀 했었습니다. 그러던 중 얼마 전에 GTX 460이 발표되었고 여기 저기서 공개된 벤치마크 자료들은 많은 분들이 공감하시고 계시듯이 제 마음도 꽤나 설레이게 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제품이 국내에 출시되자 예상치 못한 비싼 가격에 실망을 했었죠. 일부 사이트에서 진행된 공동구매 가격조차도 매력이 떨어지는 가격이었으니 시장 가격은 말도 아니었죠. 하지만 한 달 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서서히 가격이 안정화 되더니 지난 주에는 나름 메리트 있는 가격으로 공구가 진행되더군요. 경쟁히 상당히 치열했지만 다행히(?)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외형 및 설치 그리고 오늘 택배를 받았습니다. ..

컴퓨터 / IT 2010.07.27

PCI Ex 슬롯의 전력에 대한 궁금증

예전에 포스팅했던 글(ATI와 NVIDIA의 만남: Hybrid PhysX)을 이미 읽어 보셨던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저는 PC 한 대에 그래픽 카드를 두 개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인은 HD4850이고 세컨더리는 GT 240이죠. 별 생각 없이 잘 사용하고 있던 중 갑자기 궁금한 것이 하나 생겼습니다. 제가 사용중인 메인보드 기가바이트 P55A-UD3R입니다. PCI Express x16 슬롯이 두 개 있는데 고급형 보드가 아니다 보니 2번째(사진에서 보면 아랫 쪽) 것은 실제로 PCI Express x4 슬롯입니다. PhysX나 CUDA 연산을 위해서는 x16의 대역폭까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 아무런 문제는 없습니다만 이상한 부분은 바로 소비전력입니다. PCI Express 스펙 문서를 보면 x..

컴퓨터 / IT 2010.07.21

[Win7] 64비트에서 SK 휴대폰 드라이버 설치 ②

모토로라 홈페이지에 있는 최신 버전은 윈7을 지원합니다. (글 작성일 기준 2010년 4월 버전) 아래 내용은 윈7을 지원하지 않는 구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되니 참고 바랍니다. 오래 전에 올렸던 글([Win7] 64비트에서 SK 휴대폰 드라이버 설치)에서 설명드렸다시피 일부 SKT 휴대폰의 USB 드라이버는 윈7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최근 휴대폰 모델들은 드라이버가 업그레이드되어서 이런 문제가 없는지도 모르겠으나 저처럼 구형폰(모토로라 Z6m)을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설치 프로그램이 오래된 것이라 문제가 생깁니다. 그래서 수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찾아 포스팅했었는데 이게 제약이 좀 있습니다. 휴대폰 충전은 잘 되지만 휴대폰과 통신하는 프로그램들에서는 휴대폰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입니다. ..

컴퓨터 / IT 2010.07.15

Hybrid PhysX mod 새 버전 1.04ff

최신 지포스 드라이버를 지원하는 Hybrid PhysX mod의 새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반가운 마음에 다운 받아 설치해 보니 아주 잘 동작하는 군요. mod가 필요 없는 지포스 드라이버 257.15 버전을 사용하고 있던중 이 번에 새 버전의 mod와 함께 지포스 드라이버는 258.69 버전으로 그리고 PhysX 시스템 드라이버는 9.10.0224로 업데이트했습니다. * Hybrid PhysX mod 링크: http://tinyurl.com/hybridphysx mod의 UI가 달라졌습니다. 예전보다 덜 혼란스럽네요. ㅎㅎ 기존 환경에선 159점 나왔는데 이 번에 업데이트하고 나니 165가 나옵니다. 뭣 때문에 올라갔는지는 모르지만 기분은 좋네요. Hybrid PhysX mod의 빠..

컴퓨터 / IT 2010.07.01

AMD 플랫폼에서 AHCI 전환하기

HDD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USB 2.0의 최대 전송률을 초과해 버린 것이 이미 기억도 나지 않을 만큼 오래된 일처럼 느껴집니다. 최근 개인적으로 대용량 복사가 흔해짐에 따라서 USB 2.0의 속도 제한에 더욱 갈증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PC에 따라서는 AHCI 모드의 eSATA 포트를 이용하여 고속 전송을 하고 있긴 하지만 일부 PC는 그렇지 못하다 보니 핫플러깅의 편리함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자주 복사를 하는 PC는 총 3대인데 한 대는 인텔 칩셋이고 나머지 두 대는 AMD 칩셋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 대 모두 윈도우 초기 설치시에 IDE 모드에서 설치했었는데 인텔 칩셋은 윈도우 비스타나 7의 경우 레지스트리에서 msahci의 설정 하나만 바꿔준 후 BIOS에서 AHCI로만 바꿔 ..

컴퓨터 / IT 2010.06.25

기가바이트 GA-P55A-UD3R

어제 PC의 메인보드를 교체하였습니다. 약간의 업그레이드가 될 텐데요. 전에 사용하던 기가바이트 H55M-UD2H도 불만이 거의 없긴 했지만 몇 가지 이유로 인해 갑작스럽게 바꾸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를 간단히 말씀드리면... (1)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공동구매 때문이었는데요. ^^;;; 최저가보다 3만 5천원 정도 저렴하다는 것 (2) USB 타입 지상파 디지털TV 튜너를 사용중인데 USB 포트의 전력 부족 때문인지 인식이 됐다 안 됐다 합니다. 최근에 나오는 일부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들은 USB 포트의 전력이 표준보다 3배 정도 높더군요. (3) Hybrid PhysX 구성하기 위해 GT 240을 두 번째 PCI-Ex 16x 슬롯에 꼽으면 USB 커넥터를 일부 사용 못함. 박스 겉 모습입니다. 평범하죠..

컴퓨터 / IT 201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