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D 250GB 두 개를 속도 비교해 본 김에 다른 두 가지 모델도 돌려 봤습니다. 최근 인기 있는 모델들인데 320GB는 회사에서, 640GB 모델은 집에서 사용중입니다. 둘 다 acoustic management 설정이 maximum performance인 상태로 측정한 것인데 320GB는 구입 당시부터 그렇게 설정되어 있었고 640GB는 변경(min -> max)한 것이며 두 모델 모두 320GB 플래터를 사용한 것들입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거의 비슷한 성능이 나오지 않을까 싶었는데 실제로 전송률의 경우 거의 비슷하네요. 640GB 모델이 아주 약간 높게 나오는데 이 정도 차이면 같다고 봐도 될 듯 합니다. 그런데 액세스 타임(Access)은 차이가 좀 나는 군요. 640GB에서 acoustic management를 min을 했을 때 320GB의 max 상태와 유사합니다.
이 두 하드가 전송률에 있어선 250GB 모델과의 성능 차이가 꽤 나는데(60% 정도 빠름) 액세스 타임이 비슷해서 인지 실제로 OS를 설치하고 돌려 보면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저는 솔직히 640GB로 바꾸면서 좀 기대를 했었는데 몸에 와 닿을 정도는 안 빠르더군요. OS용 하드에 있어서는 역시 액세스 타임이 중요한가 봅니다. 기회가 되면 벨로시랩터라도 사서 돌려 보고 싶네요. ㅎㅎ

그래서 전체적으로 거의 비슷한 성능이 나오지 않을까 싶었는데 실제로 전송률의 경우 거의 비슷하네요. 640GB 모델이 아주 약간 높게 나오는데 이 정도 차이면 같다고 봐도 될 듯 합니다. 그런데 액세스 타임(Access)은 차이가 좀 나는 군요. 640GB에서 acoustic management를 min을 했을 때 320GB의 max 상태와 유사합니다.
이 두 하드가 전송률에 있어선 250GB 모델과의 성능 차이가 꽤 나는데(60% 정도 빠름) 액세스 타임이 비슷해서 인지 실제로 OS를 설치하고 돌려 보면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저는 솔직히 640GB로 바꾸면서 좀 기대를 했었는데 몸에 와 닿을 정도는 안 빠르더군요. OS용 하드에 있어서는 역시 액세스 타임이 중요한가 봅니다. 기회가 되면 벨로시랩터라도 사서 돌려 보고 싶네요. ㅎㅎ
반응형
'컴퓨터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halem의 제품명은 "Core i7" (0) | 2008.08.11 |
---|---|
인텔 Larrabee의 구조를 공개 (2) | 2008.08.04 |
같은 하드 다른 성능 (0) | 2008.07.24 |
메이플스토리와 비스타 (11) | 2008.07.22 |
비스타의 숨겨진 매력들 (1) (0) | 2008.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