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싼ix 시승할 때는 이런 저런 즐거움에 사진도 많이 찍고 했는데 쏘나타는 워낙 흔한 차라서 그런지 그러질 못했네요. 간단히 시승 소감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처음 차를 받고서 시내를 슬슬 주행해 보는데 엔진 반응이 비교적 거칠고 액셀도 민감하게 세팅되어 킥다운이 자주 유발되더군요. 그리고 현대차의 특징인 발냄새만 맡아도 덜컥 걸리는 브레이크 덕분에 잠시동안 적응이 안되었습니다.
차를 받아올 때 비가 많이 내리고 있었는데 담당자께서 저희가 가는 모습을 계속 지켜 보고 있어서 미안한 마음에 천천히 세팅하지 못하고 조급하게 출발하느라 움찔움찔거렸는데 그 분께서 속으로 걱정하지 않으셨나 모르겠습니다. '운전 조낸 못하는거 아녀? 시승차가 무사히 돌아올까? ㅡ.ㅡ'라고 생각하면서 말이죠. ㅎㅎㅎ
어쨌든 첫 만남에서의 주행 느낌은 위화감이 좀 크고 세련되지 못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제 차와 많이 차이 나는 부분에서 적응하지 못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겠습니다만 현대자동차의 세팅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비가 오는 와중에 레인센서의 동작이 좀 어색하더군요. 많이 내리는데 천천히 동작하기도 하고 별로 안 내리는데 빨리 동작하기도 하고... 차량 속도에 따라서도 와이퍼 속도가 조절되는 듯 하던데 감도 스위치를 조작해 봐도 딱 적당한 위치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이 점은 차를 소유하면서 오래 타다 보면 적응이 되지 않을까 싶더군요.
시승중 최고속도는 잠깐동안 180km/h까지 내 봤었는데 고속주행시에도 차량 거동이 불안한 느낌은 없었습니다. 다만 길게 왼쪽으로 휘어지는 롱코너에서 오른쪽 차선의 차량 한 대가 갑자기 끼어드는 바람에 브레이크를 살짝 밟았더니 약간 좌우로 휘청거리면서 불안한 거동을 보이더군요. 원인이 무엇인지는 짐작하기 어려웠으나 그 불안한 거동으로 인해 고속주행에 대한 자신감이 살짝 꺾였습니다. ^^ 다만 코너링시 스티어링을 꺾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킹을 하는 것은 올바른 운전이라 보기 어려우므로 단점이라고 지적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그런 경험이 있었다는 정도만 참고바랍니다.
가속력에 대해 언급하자면 그냥 무난하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160km/l까지는 그런대로 잘 올라가는 듯 한데 거기서부터는 시간이 아주 더디게 가는 느낌입니다. 동승자들도 있다 보니 계속해서 가속을 하지 못하고 앞서 언급했던 180km/l까지만 올렸더랬죠. (참고로 풀악셀하면 6000rpm 근방에서 시프트업됨) 스포츠카가 아닌 패밀리 세단으로써 그 정도면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래도 엔진 성능이 아쉬운 분들은 2.4 GDI라는 대안도 있으니 말이죠.
스티어링 휠은 전동식이어서 그런지 주차시나 저속 주행시 스티어링휠을 크게 조작하면 윙~ 윙~ 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거슬릴 정도는 아니지만 고급감은 떨어진다고 할까요? ㅎㅎ 그리고 스티어링휠의 복원력도 약한 편이라 저속주행중 코너 빠져 나올 때 손으로 풀어줘야 하는 것도 아쉬웠습니다. 가벼운 스티어링휠을 좋아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특성상 그리 세팅한 것이 아닐까 짐작은 됩니다만 약간 더 스포티하게 세팅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휴가 기간에 맞춰서 시승하질 못한데다가 주중에 계속 비가 내린 관계로 충분히 시승을 해 봤다고 판단하긴 어렵지만 전체적인 느낌은 패밀리 세단으로써 훌륭한 상품성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과거의 쏘나타가 많이 팔린 것에 비해 직접 운전해 보면 실망스러운 구석들도 참 많았던 것에 비해 최근의 쏘나타는 정말 그 가치가 높아진 듯 합니다. 물론 그에 따라 가격도 많이 오른 것을 생각해 보면 가격만큼 그 값을 하는 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죠. ^^
차량 스펙과 성능에 욕심을 부리던 제 자신에게 가족을 생각하게 하는 기회가 됐던 것도 사실입니다. 가족들이 즐겁게 탈 수 있는 차가 주행성과 출력성능이 높은 차보다는 우선하지 않겠냐는 생각 때문이죠. 개인적으로 쏘나타의 외장 디자인 특히 전면부는 아직도 적응이 안되는지라 쏘나타를 사게 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만 K5와 옵션 패키지 등을 세세히 비교해 본다면 의외로 쏘나타가 승리를 거머쥘 수도?? ^^
< 내용추가: 2010-08-18 13:46 >
글을 포스팅하고 난 후 몇 가지 생각나는 것들이 있어서 추가합니다.
노면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승차감이 비교적 거칩니다. 과속 방지턱을 넘을 때 첫 충격이 약간 강하게 오고 난 후 턱을 넘고 나면 2~3회 바운싱이 있더군요. 이런 부분을 부드럽게 흡수해 주고 주행시에는 좀 더 안정감을 주는 세팅이 좋은데 현대의 의도적인 세팅인지 능력부족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순정 타이어는 역시 순정 타이어입니다. 아무래도 연비에 치중하는 타이어 조합일테니 큰 기대는 안 했습니다. 실제로 주행시 그립이 약간 떨어지는 느낌을 받긴 했으나 큰 불안감을 주진 않았으니 일상적인 용도로는 무난한 듯 합니다.
시트 포지션을 최저로 해도 약간 높은 듯 느껴집니다. 패밀리 세단이다 보니 단점이 되긴 어렵지만 낮은 자세를 선호하는 저에겐 조금 높더군요. 실내 공간은 이미 정평이 나 있듯이 넓직합니다. 특히 뒷좌석의 레그룸은 충분히 여유가 있더군요. 뒷좌석에 키 큰 사람이 앉으면 머리가 살짝 불편할 수도 있지만 쿠페형 스타일 때문에 어쩔 수 없어 보입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에 타 본 K5 (4) | 2010.09.28 |
---|---|
시로코 R과 골프 R (2) | 2010.09.13 |
쏘나타 시승 (7) | 2010.08.17 |
볼보 T6 드라이빙 체험기 (2) | 2010.03.14 |
포르쉐 918 스파이더 컨셉트 (4) | 2010.03.03 |
투싼 ix 시승기 (23) | 2010.02.17 |
-
-
무락 2010.08.18 23:12
시트포지션....이건 좀 높은게 좋던데....SUV 사야되나? ㅋㅋㅋ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이거....내 차 살때, 내 차에 옵션으로 넣을수 있었어. 2003년도에.
아마 넣었다면 베타테스트 제대로 해줬을것 같어.ㅋㅋㅋㅋ
사실 넣으려고 했는데, 그 때 영업사원이 말리더라. 검증도 안된거 왜 하려 하냐고.
지금 생각해 보면 안하길 잘했지.
사이드미러 열선.....내 차도 있어. 역시 뒷선 열선과 연동되는데....메뉴얼에는 일정시간 지나면 꺼진다고 하더만....그 일정시간이 꽤 긴듯.....꺼질만큼 오래 안타서 그런가? ㅋㅋㅋㅋ 꺼지는걸 못 봤으니.
마나님께서 통풍시트를 원하신다라.....다음 차 살때는 꽤 고급트림으로 사시겠구만. ㅎㅎㅎㅎㅎ
레인센서....오래전 회사차 트라제를 몰때 두어번 사용해봤는데.....바로 포기했다. 말대로 이건 지맘대로더만.
그게 아직도 제대로 셋팅이 안되어 있단 말여? 어이고.....하긴, 지난번에 이슬횽님 C30 타고 갈때도 얼핏 그러신것 같다...볼보 C30 레인센서도..그다지 똑똑하지 못하다고...그러고보면 레인센서는 다 그런가보넹
뭐..좋게 볼려고 하면, 좋아보이는거고....깔려고 하면 깔거만 보인다지만,
원터치 쓰리깜박이가 그렇게 셋팅되어 있다는건 많이 실망이다. 나야 뭐...경험해보지 못한 기능이지만.
현대도 연구한답시고, BMW나 벤츠 같은 차 사서 뜯어보고 사용해 볼꺼 아녀?
그런데도 그렇게 셋팅을 해?
이러니...기본이 안되어 있다고 욕 얻어먹지. 소비자를 개뿔로 안다고.....아무렇게나 만들어놔도 좋다고 사가는데....뭐한다고 머리싸매고 고생하냐고.....
에잉~ 고마할란다.
옆에 서있는 반떼가 열배는 더 이뻐보인다.-
드라이빙필 2010.08.19 10:18 신고
오~ 장문의 댓글 감사!! ^^
저는 시트포지션이 높으면 장시간 운전시 허벅지가 좀 불편해서 낮게 하는 편이예요.
하지만 다음 차를 SUV로 사고 싶은 마음도 있어요. 위에서 내려 보는 운전 자세도 나름 즐거워서.. ㅎㅎ
본문에서 언급한 몇 가지 옵션들을 고려하면 어떤 차를 사던 2500~2600만원 정도더군요.
K5를 내심 마음에 두고 있는데 스포티지R이나 투싼ix도 많이 끌립니다.
아반떼에 1.6 터보가 올라가기라도 하는 날에는 또 맘이 확 흔들릴지도 모르고...
어차피 차는 내년에 살 계획이니깐 천천히 골라 보려구요.
할부금이 부담될 것 같으면 옵션 몇 개 포기할 수도... ㅎㅎㅎ
원터치 쓰리깜빡이는 제가 다른 차에서 경험해 보지 못했다면 그냥 그런가 보다 했을 수도 있어요.
그런데 몇 대의 수입차에서 경험했던 절도있는 동작과는 전혀 다르게 구분점에서 좀 모호하더군요.
어려운 것도 아니고 완전히 젖혀질 때의 걸리는 느낌이 좀 더 강하게만 설계하면 될텐데...
익숙해지면 그 차이를 구분하면서 잘 쓰긴 하겠지만 처음부터 자연스런 느낌과
운전자가 자꾸 써서 익숙해지는 것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
-
코넨 2010.08.20 07:59
와 내년쯤 계획 중이구나 ^^ 디자인은 나무랄데 없는 K5... 나도 시승해 봤는데 펀치는 형편없어도 고속안정감은 쓸만하더군.... 그래도 우리는 골프같은차(아반테터보 등...) 무게당 토크 조은차가 낫지 않을까 아직까진?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