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IT
테라 그 다음은?
드라이빙필
2008. 8. 14. 18:26
반응형

어쨌거나 테라라는 단위 자체만으로도 무시무시한 숫자다. 1테라는 1,000,000,000,000 이니깐 말이다. 그런데 이 보다 더 높은 숫자는 무슨 알파벳으로 표기할까? 궁금하여 위키피디아에서 검색해 보니 아래 표와 같이 나온다. 혹시나 했더니 테라 위에도 아직 많이 남아 있다. ㅡ.ㅡ '엑사'까지는 그래도 좀 들어본 듯 한데 '제타'나 '요타'는 생소하네. 제타는 음.. 기동전사 제타 건담만 생각난다는... ㅎㅎ
1000m | 10n | Prefix | Symbol | Since | Short scale | Long scale | Decimal |
---|---|---|---|---|---|---|---|
10008 | 1024 | yotta- | Y | 1991 | Septillion | Quadrillion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10007 | 1021 | zetta- | Z | 1991 | Sextillion | Trilliard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10006 | 1018 | exa- | E | 1975 | Quintillion | Trillion | 1 000 000 000 000 000 000 |
10005 | 1015 | peta- | P | 1975 | Quadrillion | Billiard | 1 000 000 000 000 000 |
10004 | 1012 | tera- | T | 1960 | Trillion | Billion | 1 000 000 000 000 |
10003 | 109 | giga- | G | 1960 | Billion | Milliard | 1 000 000 000 |
10002 | 106 | mega- | M | 1960 | Million | 1 000 000 | |
10001 | 103 | kilo- | k | 1795 | Thousand | 1 000 | |
10002/3 | 102 | hecto- | h | 1795 | Hundred | 100 | |
10001/3 | 101 | deca- | da | 1795 | Ten | 10 | |
10000 | 100 | (none) | (none) | NA | One | 1 | |
1000−1/3 | 10−1 | deci- | d | 1795 | Tenth | 0.1 | |
1000−2/3 | 10−2 | centi- | c | 1795 | Hundredth | 0.01 | |
1000−1 | 10−3 | milli- | m | 1795 | Thousandth | 0.001 | |
1000−2 | 10−6 | micro- | µ | 1960 | Millionth | 0.000 001 | |
1000−3 | 10−9 | nano- | n | 1960 | Billionth | Milliardth | 0.000 000 001 |
1000−4 | 10−12 | pico- | p | 1960 | Trillionth | Billionth | 0.000 000 000 001 |
1000−5 | 10−15 | femto- | f | 1964 | Quadrillionth | Billiardth | 0.000 000 000 000 001 |
1000−6 | 10−18 | atto- | a | 1964 | Quintillionth | Trillionth | 0.000 000 000 000 000 001 |
1000−7 | 10−21 | zepto- | z | 1991 | Sextillionth | Trilliardth | 0.000 000 000 000 000 000 001 |
1000−8 | 10−24 | yocto- | y | 1991 | Septillionth | Quadrillionth | 0.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1 |
요타까지 알았지만 그 다음은 어떻게 될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대해선 자료를 찾지 못해서 모르겠지만 아마도 알파벳 두 개를 겹쳐 쓰게 되지 않을까? 즉, Y 다음은 kY, MY, GY 이런 식으로... 진짜? 아니다 그냥 내 생각이다. 맞으면 다행이고 아님 말고.. 하지만 그럴 듯 하지 않은가? ㅋㅋ
그런데 여기서 표를 잘 보면 재밌는 사실이 하나 있는데 제타와 요타가 1991년에 제정되었다는 것이다. 그 전에는 없었고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졌나 본데 그렇다면 아마도 내 추측과는 달리 제타가 흔하게 쓰일 시기가 되면 아마도 표준 기호가 또 만들어질 것 같다. 과연 그 다음은 무슨 알파벳이 될지 맞춰 보는 것도 재밌지 않을까? ^^
글을 다 쓰고 나서 생각난 것이 하나 더 있다. 이제서야 비로소 PC에서 64비트 컴퓨팅의 시대가 열리려고 하는 상황인데 64비트는 어디까지 표현할 수 있을까? 264이 최대값이 되는데 210=1024(컴퓨터에서의 1K)이므로 264=10246×24가 되고 이는 16Exa가 된다. 결국 Exa의 시대가 되면 64비트로도 부족해지는 것이다. 사실 그 때가 되더라도 64비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처리하는데 부족함은 없겠지만 그러한 데이터를 많이 다루는 곳에서는 효율성을 위해 CPU가 128비트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그 때까지도 Windows는 사용되고 있을까? ㅎㅎ
반응형